반응형
'의료공백' 닥친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

100병상을 넘게 갖춘 종합병원 이상의 큰 병원을 찾는 경증환자 수가 최근 수년 사이 꾸준히 줄다가 지난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의 종합병원 이상급 병원을 이용한 감기, 장염 등 경증질환 환자는 지난해 84만2천여명으로, 1년 전보다 3.4%가량 늘었다.
서울에서 이들 대형병원을 이용한 경증환자 수는 2019년 161만6천여명에서 매년 꾸준히 줄었으나, 지난해 반등한 것이다.
전공의 집단사직에 따른 의료 공백이 벌어진 올해도 상반기까지 경증환자 약 40만7천명이 대형병원을 이용해 지난해 1년간의 절반에 달했다.
부산에서 대형병원을 찾은 경증환자는 2019년 82만1천명에서 2022년 54만5천명까지 줄었다가 지난해 약 56만명으로 증가했다.
2022년 대비 지난해 대형병원 방문 경증환자는 경기(152만5천명→161만7천명), 인천(36만6천명→39만명), 대구(22만6천명→24만4천명), 광주(37만3천명→43만1천명), 대전(13만7천명→14만3천명), 울산(23만3천명→25만4천명) 등에서 모두 늘었다.
대형병원에서 진료받은 경증 질환으로는 대체로 장염, 원인 질환이 발견되지 않는 본태성(일차성) 고혈압 등이 많았다.
서울에서 대형병원을 이용한 '감염성 및 상세 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상병코드 A09) 환자는 2021년 5만7천명에서 지난해 6만6천명으로 늘었다.
감기(급성비인두염) 환자의 경우 같은 기간 약 1만명에서 2만2천명으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김미애 의원은 "감기나 소화불량 등 경증질환의 경우 동네 병원을 이용하게 하기 위한 정책을 점진적으로 꾸준하게 추진하되, 정책 추진 시 혹시 모를 부작용이 없도록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3일 연합뉴스)
▶한익 씨의 한마디
의사들이 판단하기에 별로 중하지 않은데도 대형병원 찾는 이유는 극명하다. 중형 및 소형 병원(동네병원)을 믿지 못하는 데 있다.
그 원인은 오진을 확률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동네병원으로 가서 중형병원으로 가고 그 후 대형병원으로 가면 이미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아예 처음부터 대형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이 비용을 조금 더 부담하더라도 환자 입장에서는 안심이라는 결론이다. 이 문제는 쉽게 해결이 되지 않을 것이다. 동네병원 및 소형 병원은 진료의사의 전문성 그리고 의료기기의 수준 등 복합적인 문제로 국민들은 신뢰를 못하는 것이다. 나 역시도 몸이 아프면 우선 대학병원 등 상급병원으로 갈 생각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