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2 연평해전 당시 전사한 해군영웅 고(故) 조천형 상사의 딸 조시은(부경대·22)씨가 지난 28일 아버지의 뒤를 이어 해군 소위로 임관했다.

조시은 해군 소위 [사진=연합뉴스]
조 상사는 지난 2002년 제2 연평해전 당시 참수리 357 호정 벌컨포 사수로 북한군의 공격에 맞서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서해영웅이다. 조 소위는 제2 연평해전 당시 4개월 된 아기였다.
조 소위는 "아버지처럼 멋있는 군인이 되고 싶다는 마음으로 해군의 꿈을 키웠다"면서 "자랑스러운 해군 장교로서 아버지가 포기하지 않고 지킨 우리나라의 바다를 수호하겠다"라고 당찬 포부를 밝혔다.
이날 학군장교(ROTC) 임관식은 충북 괴산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열려 육·해·공군과 해병대 소위 2758명이 배출됐다.
육군 2450명, 해군 84명, 공군 146명, 해병대 78명이 이날 소위로 임관했다. 여군은 총 402명이다.
학군장교들은 학군단이 설치된 전국 119개 4년제 대학에서 1·2학년 때 장교 후보생으로 선발됐고, 이후 2년간 군사훈련을 받고 종합평가를 거쳐 임관했다.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축사를 통해 "장교는 자신보다 부하를 더 걱정하고, 때로는 희생을 감내해야 하는 쉽지 않은 길"이라며 "군 생활을 통해 체득한 위국헌신의 정신과 리더십은 우리 군과 대한민국의 희망찬 미래를 만들어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상은 육군 김예빈(성신여대·23) 소위, 해군 박종혁(부경대·22) 소위, 공군 박형주(교통대·23) 소위가 수상했다.
조 소위뿐 아니라 대를 이어 복무하는 이들이 많았다. 최지훈(한성대·22) 육군 소위는 아버지와 3남매 모두 학군장교인 군인 가족이다. 학군 29기 출신인 아버지 아래 누나는 학군 59기, 형은 학군 61기다.
이유민(홍익대·22) 육군 소위는 학군 1기 출신 할아버지와 29기 출신 아버지를 둬 3대에 이은 학군장교 가족이 됐다.
연지협(서울대·24) 육군 소위는 해병대에서 병 복무를 마치고 학군장교로 임관해 2개의 군번을 갖게 됐다.
임관 장교들은 각 병과학교에서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 교육을 받은 후 6월 말 야전부대로 배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1일 아이뉴스 24)
▶한익 씨의 한마디
연평해전 고 조천형 상사의 딸 조시은은 아버지가 지킨 바다를 이어 지키겠다는 마음으로 해군소위가 되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의 바다를 지키겠다는 그 애국심과 충정에 감사를 표하는 바이다.
조 소위는 학사장교출신으로 해군소위가 되었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직업으로써 군인이 될 것인지.... 아니면 적당하게 군생활을 하다가 진급이 뜻대로 되지 않으면 전역을 할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정규 해군사관학교 출신이 아닌 학사장교로 장교생활을 하면서 영관급까지 아니 그 이상까지 승진하기가 현실적으로 힘들다. 해군사관학교 출신들은 중령까지는 대부분 승진을 하지만 대령이 되기는 상당히 힘들다. 100명 중에 약 20명 정도가 대령이 된다고 한다. 해군사관학교 출신이라도 거의가 중령에서 전역을 하고 사회에서 제2의 직업을 찾는다고 한다. 위 조시은 해군소위도 현실을 잘 알아서 해군장교생활을 잘해주길 바라는 마음이다. 아버지가 직업군인으로서 근무했던것처름 조 소위도 훌륭하게 해군 장교생활을 하면서 승진도 잘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