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3% 등 담은 연금개혁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by 목마른 경제적 자유 2025. 3. 21.
반응형

정부는 3월 20일(목) 국민연금 제도 지속 가능성 제고하고 노후소득 수준 강화하기 위한「국민연금법」일부개정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정 법률안 주요 내용 기대효과 다음과 같다.

사진 확대 (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과 국민의힘 권성동(왼쪽),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연금개혁 관련 여야 합의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25.3.20/뉴스1

    1. 보험료율·소득대체율(안 제88조, 제51조)

 

  우선, 보험료율 현행 9%에서 13% 인상한다. 국민 부담을 고려하여2026년부터 매년 0.5%p씩 단계적으로 인상하며, 2033 13% 도달하게 된다. 보험료율 1988년 국민연금 제도 도입 당시 3%였으나, 1993 6%, 1998 9% 조정된 이후 계속 유지되어 왔다.

 

  명목소득대체율 2026년부터 43% 상향 조정한다. 명목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연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국민연금 도입 당시 70%, 1999 60%, 2008 50% 낮아졌으며, 법률 부칙에 따라 매년 0.5%p씩 인하되어 2028까지 40% 조정될 예정이었다. 올해는 41.5%이며, 내년은 41%로 조정되어야 하나 이번 법률 개정을 통해 내년부터 소득대체율은 43%로 고정된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재정추계 결과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2056년 기금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번 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정과 정부의  기금수익률을 1%p 제고(4.5%5.5%) 노력이 병행된다면 기금소진 시점이 15년 연장되어 2071년까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 지급보장 명문화(안 제3조의2)

   국민연금 제도에 대한 국민 신뢰 제고하기 위해 국가 연금급여 지급근거 보다 명확히 규정하였다. 현행 국민연금법은 연금급여 안정적·지속적으로 지급되도록 필요한 시책 수립할 국가의 의무 규정하고 있으나, 

국가의 연급급여 지급 보장하고, 이에 필요한 시책 수립 및 시행’하도록 개정함으로써 연금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출산 크레딧 확대(안 제19조)

 

  출산 크레딧 첫째아부터 지원토록 확대한다. 첫째아는 추가 가입 기간으로 12개월을 산입하고, 최대 50개월까지만 인정하는 상한 규정도 폐지한다. 출산 크레딧 출산으로 인한 소득 공백 보상하고, 노후 소득 강화하 위한 제도, 현재는 둘째아 12개월, 셋째아 이상 18개월씩 추가 가입 기간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번 개정을 통해 출산 가구 노후 소득 실질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다자녀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저출산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군 복무 크레딧 확대(안 제18조)

 

  군 복무 크레딧 역시 현재 6개월 인정 기간 최대 12개월 확대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인 군 복무 수행 중요성 인식하고, 군 복무에 따른 개인 소득 활동 제약에 대한 보상 강화한다.

 

   5. 저소득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 확대(안 제100조의 4)

 

  보험료 인상에 따른 저소득 지역가입자 부담 완화하기 위해 보험료 지원 대상 확대한다. 기존에는 보험료 납부 재개 지역가입자 대상으로 최대 12개월 동안 보험료 절반 지원하였으나, 지원 대상 저소득 지역가입자 확대하였다. 구체적인 소득 기준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에서 세부적으로 규정할 계획이다.

   6. 시행일(부칙)

  개정된 국민연금법은 하위법령 마련 등을 거쳐 2026 1 1부터 시행된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번 연금개혁 2007년 이후 18년 만에 달성하는 역사적 성과로, 세대 간 연대 실천하기 위해 오랜 기간 숙의하여 뜻을 모아주신 국민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합의해주신 국민연금법 개정안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향후 연금특위 등 논의체계에서 재정 안정화 조치 도입과 국민·기초·퇴직·개인연금 등 구조개혁 과제가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