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개 요
"노는 돈 굴려볼까"…저축은행 고금리 파킹통장 '눈길'
파킹통장
parking(주차)를 하는 것처럼 언제든 넣다 뺐다 입출금할 수 있는 통장을 의미한다. 좀 더 상세하게 통용되는
namu.wiki

2. 상 세
일반적으로 언제라도 융통이 가능한 여유 자금을 맡겨놓는 데에는 대다수가 제1금융권의 일반 입출금 통장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유의 통장은 대부분이 자유로운 입출금이 보장되는 대신에 장기간 이자가 거의 제로에 불과했고 따라서 제대로 된 금리 이자로 수익을 보려면 정기예금, 적금 등으로 돈을 묶어야만 제대로 된 이율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2010년대 중후반부터 토스, 카카오뱅크와 같이 금리를 더 높게 주는 인터넷 은행이 생기고 나서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파킹통장이라는 정확한 정의나 분류가 있는 것은 아니나, 기본적으로 금리를 상대적으로 높게 주면서도 상시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을 말한다.
따라서 CMA도 광의로는 파킹통장으로 볼 수 있지만, 최근에는 협의로 보아 위 기본 전제를 충족하면서도 은행(주로 저축은행)에서 취급하여 예금자 보호까지 적용되는 입출금 통장 형태의 금융 상품을 주로 파킹통장이라 칭하며 CMA와는 별도 구분 해서 부르는 경향이 있다. 1년여 전까지만 해도 토스가 2%의 이자를 주면서 파킹통장의 대세로 자리 잡았으나, 현재는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그보다 금리를 더 주는 곳들이 많아졌다. 2022년부터는 금리가 오르면서 파킹통장 금리도 전체적으로 높아졌고 관심도도 많아졌다. 12월 현재 3%대의 이율을 주는 파킹통장도 찾기 쉬운 편이다.[3]
그러나 1금융권에서 예금 금리 인상이 정부에 의해 억제되자, 파킹통장 금리도 다시 떨어지기 시작했다.
파킹형 ETF도 있다. 연 3%대 이자를 준다. 다만 매수, 매도 시 세금과 수수료가 있으므로 자주 사고팔면 불리하다.

파킹통장
parking(주차)를 하는 것처럼 언제든 넣다 뺐다 입출금할 수 있는 통장을 의미한다. 좀 더 상세하게 통용되는
namu.wiki
3. 유의 사항
가입할 때 각종 조건을 달아놓는 경우가 있으니 가입할 때 잘 살펴보아야 한다. 첫 가입, 한도 제한, 카드 실적, 자동 이체 등이다. 또한 이자 제공 방식도 매일 지급, 월 지급, 분기 지급 등의 조건도 다를 수 있다. 매일 지급 방식은 비교적 적은 편이며, 예금 금리가 높은 경우 최소 월 지급이 많다. 또한 금리 상승기에 이자가 오를 때 기존 가입자들의 금리를 올려주는 게 아니라, 새로 통장을 만들어서 가입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금리 변동기에 주시해야 한다.
4. 금리 높은 은행들
2022년 9월 21일 현재 금리가 높은 파킹통장은 다음과 같다.
-
사이다 저축은행 3.2% 이자 월 지급, 한도 1억
-
OK저축은행 3.3% 이자 월 지급, 한도 1억
-
웰컴저축은행 3% 이자 월 지급, 한도 5천만 원
-
하나저축은행 3.2% 이자 분기 지급, 한도 5천만 원
- 페퍼저축은행 3.2% 이자 분기 지급, 한도 5천만 원
- 키움저축은행, 더 키움 파킹통장 금리 최고 연 2.85%로 인상
"시중은행과 별 차이 없네"...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도 하락세

5. 이자 계산기
이자계산기 파킹통장 이자를 일자별로 계산해주는 계산기가 있다.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분형 주택담보대출 출시, 무주택자들의 환영 받을까? (0) | 2025.04.24 |
---|---|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세금, 모르면 손해! (2) | 2025.04.22 |
자산관리계좌(CMA)뽀개기 (1) | 2025.04.19 |
손해보험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보자 - 자주 문의하는 소비자 상담사례 (0) | 2025.04.15 |
‘달러채권 투자’로 고수익 실현이 가능하다고 유인하는 ‘글로벌 투자회사’ 사칭업자들에게 속지 마세요!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