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5년 장마기간은 언제? 예상 강수량과 유의사항 정리와 관련하여...
오늘이 5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내일 6월부터는 점점 더워지는 날씨와 함께 찾아오는 장마라는 반갑지 않은 손님이 있습니다. 대비를 철저히 해야 되겠습니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2025년 2025 여름의 날씨를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강수량도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여름이 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잠깐, 여기서 '평년'이라는 말의 의미를 짚고 넘어갑시다.
평년의 의미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의 동일 시기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이 평균값을 기준으로 현재와 미래의 강수량과 기온을 비교하며, 이상기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 2025년 장마기간 예상
기상청의 과거 통계자료와 최근 기상 전망을 종합하여, 2025년 장마기간을 예측해 본 날짜입니다.
가. 제주도월 19일경 시작하여 7월 20일경 종료 (약 32일간 지속)
나. 남부지방월 23일경 시작하여 7월 24일경 종료 (약 31일간 지속)
다. 중부지방월 25일경 시작하여 7월 26일경 종료 (약 31일간 지속)
위와 같은 예측은 최근 30년간의 장마 평년값과 비슷한 일정이며, 지역별로 1일~2일 정도의 변동은 있을 수 있습니다.
3. 2025년 장마기간의 기후특성과 강수량은?
기상청은 2025년 장마철은 예년보다 강수량이 많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으며, 필리핀, 해상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져 대기 불안정성이 심해졌으며, 이로, 인해 강한 비구름대가 자주 형성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2025년 장마기간 강수량 전망
중부지방: 400~500mm 예상
남부지방: 350~450mm 예상
국지성 호우 빈도 증가 예상 (시간당 50mm 이상의 집중호우 가능성 있음))
또한, 장마 전선이 남북으로 오르내리는 간격이 커서 비 오는 날과 맑은 날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양상이 많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농사, 여행계획, 야외 활동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기상청 발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연도 | 중부지방장마기간 | 특 징 |
2020 | 6월24일~8월16일 | 역대 최장기간 장마 |
2021 | 7월3일~7월24일 | 짧은기간에 강한 빗줄기가 집중적으로 발생 |
2022 | 6월27일~7월26일 | 예년 수준 |
2023 | 6월25일~7월28일 | 장마시작부터 끝까지 점점 강수량 증가됨 |
2024 | 6월23일~7월24일 | 장마기간이 짧고 온화한 장마 |
4. 장마철 유의사항 5가지
가. 폭우대비 상습적인 산사태 우려지역 사전 예방조치
나. 건물 및 도로침수 예방을 위한 배수구 이물질 제거 등 배수관로 점검철저
다. 폭우로 인한 운전자 시야 방해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저속운행 등 안전운행철저
라. 식중독 예방 등 건강관리 철저
마. 장마로 인한 주택 내 습기로 인한 전기 계통 감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각종 전자제품 관리철저
5. 마치며
항상 그렇듯이 장마철이 되면, 우리들이 아무리 장마철 대비를 한다고 하더라도 소홀한 곳이 발생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전에 인적, 물적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 주변부터 장마철에 취약한 곳을 꼼꼼히 살펴보고 선제적 조치를 하는 것이 완벽한 조치는 안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특히, 폭우로 인하여 저지대 지역에 있는 주택의 침수, 또한 산사태 발생 시 피해가 발생하는 산기슭에 있는 전원주택 등은 매년 장마철이 되면 되풀이되는 피해발생장소입니다. 2025년 장마기간은 언제? 예상 강수량과 유의사항 정리를 참고하셔서 장마철 피해가 없도록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